1. 축구화의 역사
최초의 축구화는 잉글랜드 국왕 헨리 8세의 의상 관리인이 제작한 것으로, 발을 보호하기 위해 두꺼운 가죽 재질과 발목을 감싸는 형태로 만들어진 것이었습니다. 이 신발은 무게가 500g에 달하며 콧등 부분에는 쇠뭉치가, 징에는 무쇠가 들어가 있어 축구화보다는 사실상 무기에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초기 축구경기에서는 주로 발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1925년에 아디다스에서 최초의 스터드가 달린 축구화가 출시되면서 근대 축구화의 역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축구화의 본격적인 혁명은 1954년 독일 대표팀이 아디다스의 발명인 스크류인 스터드가 달린 축구화를 신고 월드컵에서 우승한 후에 시작되었습니다. 이로써 축구화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아디다스는 대형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1954년 이후, 축구화는 계속해서 발전하였고, 1970년 멕시코 월드컵에서 브라질의 축구 스타 펠레가 푸마와의 협찬 계약을 통해 출전하면서 축구화의 마케팅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습니다. 이때 펠레가 축구화 끈을 묶는 모습이 TV 생중계되면서 푸마는 대박을 이루었습니다. 이후 아디다스, 푸마, 나이키는 유명 축구 선수들과의 계약을 통해 경쟁적으로 축구화 홍보를 벌여오고 있으며, 이는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아디다스의 코파 문디알은 축구화계의 베스트 셀러로, 고전적 디자인과 뛰어난 착용감으로 여전히 선호되고 있습니다.
2. 축구화의 구조
축구화의 어퍼는 크게 천연가죽과 인조가죽으로 나뉘며, 천연가죽은 주로 캥거루와 소의 가죽으로 제작됩니다. 캥거루 가죽은 가벼우면서도 뛰어난 강도를 가지고 있어, 플레이 중에 발에 편안함을 제공합니다. 최상급 축구화에는 주로 캥거루 가죽이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캥거루 가죽 사용을 언급한 법안이 발의되어 일부 브랜드가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있습니다. 인조가죽 축구화는 천연 소재가 아닌 합성 소재로, 90년대 이후 동물 도살량 증가와 친환경 운동으로 등장했습니다. 테이진의 인조 가죽, 캉가-라이트, 나이키스킨, 타우러스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이 좋거나 공을 잘 차거나 컨트롤이 쉬운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니트 어퍼가 최상급 축구화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플라이니트, 프라임니트, 에보니트, 그립니트 등 다양한 브랜드의 니트 어퍼는 부드럽고 발을 효과적으로 감싸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합니다. 이는 인조가죽보다 부드럽고, 천연 가죽과 유사한 착용감을 가지면서도 늘어남이 적은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축구화의 아웃솔은 바닥 부분에 스터드가 박혀 있으며, 미드솔은 인솔과 아웃솔 사이에 위치하여 축구화의 기본 형태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외에도 인솔은 신발 내부에 위치하며, 스웨이드 인솔, 부스트 인솔, 그립 인솔, 논슬립 인솔, 일체형 인솔, 포론 인솔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힐카운터는 뒤꿈치 부분을 잡아주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내장형과 외장형이 있습니다. 힐카운터는 뒤꿈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슛이나 패스에도 도움을 줍니다.
3. 축구화의 규정
축구 규칙 상으로는 축구화 착용이 의무가 아니며, 단순히 신발을 착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맨발로 경기를 진행하는 것은 규칙 위반입니다. 그러나 어떤 종류의 신발을 착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시는 없으며, 실내화, 슬리퍼, 구두, 하이힐, 장화 등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착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FIFA나 아프리카 축구 연맹이 주최하는 대회나 리그에서는 밑창이 금속이거나 금속 팁이 박힌 신발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콩고민주공화국 축구 팀의 번개 몰살 사건을 계기로 금속 팁이 문제시되면 해당 선수는 퇴출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대회나 리그에 참가하는 선수들은 금속 팁이 없는 축구화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러나 경기 중에 심판이 선수의 장비가 부적절하다고 판단하면 역시 규칙 위반이 됩니다. 따라서 축구화를 신는 것은 필수가 아니지만, 축구 경기에 최적화된 축구화를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모든 축구 선수들은 자신에게 가장 편안하고 적절한 축구화를 선택하여 경기에 참여합니다. 또한, 일반 경기에서는 반드시 축구화를 착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는 점도 강조됩니다.